OSI 7계층

ISO에서 개발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7계층으로 나누어 정의

  1. 물리계층 실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 및 연결 장치 등과 같은 기계적인 항목 bit 형태로 전송 허브, 리피터가 1계층에 속함

  2. 데이터링크 계층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논리적인 단위로 구성하고 필요한 정보를 덧붙여 물리계층으로 전달 전송 단위 frames 장치에 인접한 MAC 주소 전달, 전송제어, 오류제어 등의 역할을 한다. 브리지, 스위치가 2계층에 속함`

  3.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구분하여 전송, 경로를 담당 라우터가 3계층에 속함

  4. 전송 계층 데이터 전송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연결 설정 및 유지, 오류복구 흐름제어 전송 단위 segments 전체 매시지에 전송을 책임짐 TCP와 UDP가 4계층에 속함

  5. 세션 계층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동기화를 유지

  6. 표현 계층 전송하는 데이터의 표현 방식 해석, ex) ASCII, EBCDIC

  7. 응용 계층 응용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 일반적인 사용하는 서비스


Ethernet / LAN 이해

LAN : 가까운 지역을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묶는 근거리 통신망, 현재는 이더넷을 사용하여 구성

LAN의 구성방식

  • 스타형 중앙에 위치한 중앙 컴퓨터가 각 컴퓨터에 통신하는 방식, 중앙컴과 Point to Point 방식으로 연결 중앙 네트워크 문제 발생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 설치 비용이 많이 듬

  • 버스형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여 전송, 한번에 한 컴퓨터만 전송할 수 있어 성능 문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비용 저렴, CSMA/CD와 토큰 패싱 사용

  • 링형 원형의 통신회선에 단말기를 연결, 앞의 컴퓨터에게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에 재전송 충돌이 없음, 노드의 추가 어려움, 문제 발생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 가능성

  • 망형 스타형과 링형이 혼합된 형태, 각 네트워크 장비가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 요구 설치 비용이 많이 듬, 신뢰성이 높음

LAN 전송 방식

이더넷과 CSMA/CD

이더넷은 LAN을 위해 개발된 네트워크 기술로 각 기기들이 MAC주소를 기반으로 서로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 CSMA/CD는 전송 신호 유무를 파악하여 충돌을 피해 전송하는 기법

토큰링

링 형식으로 데이터는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하여 사용


TCP/IP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이해

프로토콜의 개요 컴퓨터 상호간에 통신을 위해 미리 정해놓은 특별한 통신규약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 3가지 구문, 의미, 순서

프로토콜 제정 기관 ISO - osi7 IEEE - 전기 및 전자공학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직, IEEE 802 ANSI - 대표적으로 ASCII EIA - 미국 전자 산업 협회 , RS-232C ITU-T 전기통신 표준화

TCP UDP

TCP - 연결지향 전송 프로토콜로 ACK을 주고 받음으로 점검, 많은 전송시간 UDP - 비연결 전송 프로토콜, segments를 보내기만하고 ACK를 주고받지 않는다

프로토콜 번호 확인 /etc/protocols 포트 번호 확인 /etc/services

포트 0 ~ 65535 사용 가능

0~ 1023 well-known port


주요 명령어

netstat -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출력

모든 소켓의 PID 및 프로그램명을 출력하고 호스트명, 포트명 등은 숫자값으로 출력 netstat -anp

라우팅 테이블 정보 netstat -r

arp - arp 캐시를 관리하는 명령

ip주소와 mac주소를 연결한 리스트 출력

ping - ICM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

traceroute - 패킷이 특정 호스트까지 라우팅되는 과정을 출력

nslookup - DNS를 이용하여 도메인이나 IP조회

hostname - 호스트네임을 출력하거나 설정

mil-too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점검, 설정(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정보)

ethool - 이더넷 카드 설정 정보 출력, 변경

ip - 이더넷 장치, IP 주소, 라우팅 정보 등의 설정 정보 출력, 변경 ip addr vs ifconfig : ip addr은 CIDR가 표시, ifconfig는 CIDR이 없음

ss - 소켓 상태를 출력 netstat과 유사, 포트 번호가 나옴

telnet - 텔넷 연결(23port)

ftp - 파일 전송(21port)


네트워크 관련 파일

/etc/sysconfig/network 네트워크 사용 유무, 호스트명, 게이트웨이 주소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 디렉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환경설정과 관련된 파일 존재 ex) ifcfg-eth0

/etc/resolv.conf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네임 서버(DNS) 설정 파일

/etc/hosts IP주소와 호스트명을 매핑